[A+ 받은 資料] 집안 구조를 통해 살펴본 구성원의 서열 분석 [한양대학교 인문학적 건축학 해결해야할문제#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9 07:46
본문
Download : 인문학적건축학 서현 교수님 과제#1.pdf
동생의 방과 서재의 차이라면 서재와 현관문은 사이에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그나마 동생의 방은 진입하기 전에 화장실과 약간의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재보다는 조금 더 현관에서부터의 공간적 여유가 있습니다. 저희 집은 사실 이 평면도를 좌우대칭 해놓은 모습입니다. 침대라는 은밀한 공간 보다는 공부 및 독서할 때 사용되어지는 책상 및 책꽂이를 다른 사람에게 쉽게 공개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왜 서재가 가장 공개되어 있는 자리에 위치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봤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집에 대해 分析(분석)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자칫 잘못하면 오해할 수 있는 것이 하나 있는데, 분명 거리상으로 이 두 개의 방이 거실보다 현관문에 가깝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거실에는 현관에서부터 따로 공간을 분리하는 문이 없는 반면에 두 개의 방에는 문이 존재하여 각 방에 있는 주체가 원한다면 외부에서부터의 공개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거실이 다른 두 방보다 외부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장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현관문을 열고 들어오자마자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은 서재입니다.
한양대학교 인문학적 건축학 서현 교수님 수업 첫번째 과제입니다! 30점 만점에 30점 받았고, A+ 받은 과목입니다. 거실과 비슷한 위치에 주방이 위치해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현관문에 가까운 방은 역시 동생의 방이었습니다. 현관문에서부터의 거리는 다른 무엇보다 외부인에게 공개되는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그 공간 안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에게 현관문에서부터의 거리는 집에서 나가고 들어갈 때 즉, 생활 전체로 봤을 때 매우 작은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여기서 평면도와 큰 차이가 있는 부분이라면 동생 방에 있는 발코니는 확장공사로 인해 없어지고 부엌에 있는 싱크대와 조리기구의 배치가 더 깊숙한 곳에 있다는 것입니다.
설명
A+ 받은 과목입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0점 만점에 30점 받았고,
첫번째 해결해야할문제입니다!
한양대학교 인문학적 건축학 서현 교수님 수업
Download : 인문학적건축학 서현 교수님 과제#1.pdf( 62 )
인문학적건축학, 미시사회, 서현, 한양대, 한양대학교, 집구조, 서열분석
순서
[A+ 받은 資料] 집안 구조를 통해 살펴본 구성원의 서열 분석 [한양대학교 인문학적 건축학 해결해야할문제#1]
다.
가장 쉽게 눈에 보이는 것은 현관문에서부터의 거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