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11:21
본문
Download :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hwp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Download :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hwp( 23 )
.
Ⅰ.인조반정의(定義) 전말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⑤ 반정의(定義) 명분 - 어미를 버리고 동생을 죽인 폐륜의 죄
->인조반정에 대한 정당성은 흔들리지 않음
① 때- 1623년 3월 23일 1500명의 병력으로 창덕궁으로 진격
⑥ 반정이후 공신 세력의 정계 개편 - 이이첨, 정인홍등 대북의 인물 처형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④ 능양군의 즉위 - 친아들 영창대군을 살해한 광해군과 대북인사에 대한 복수를 요구한 인목대비 때문에 실랑이를 벌이다 능양군이 직접 찾아와 어보를 받아 왕위에 오름
③ 반정세력의 의도- 서궁에 유폐된 인목대비의 권위를 빌려 능양군의 왕의 찬탈
.
Ⅱ. 부정적 가치 평가
설명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
: 왕위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반란의 명분이 충분치 않음
⑦ 국가적 위기 -정묘호란, 병자호란, 인성군의 죽음. 소현세자의 죽음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① 광해군과 북인의 결정적 약점
② 반정의(定義) 주요세력- 능양군(인조), 총사령관(김류)
⑧ 서인의 정권 주도 - 19세기 세도정치에 이르도록 후계세력까지 정치를 잡음
- 명을 배신한 죄
ex)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 모후를 폐하고 동생을 죽임



인조반정과 서인정권 논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