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와 석굴암 탐방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14 10:33
본문
Download : 불국사와 석굴암 탐방기.hwp
하지만 서울에 사는 여건 때문에 그동안 학교에서는 가까운 문화유적지를 택했고, 불국사를 방문한 것은 오직 초등학교 시절 가족들과 함께 갔던 적 밖에 없었다.
다.





Download : 불국사와 석굴암 탐방기.hwp( 12 )
불국사와 석굴암 탐방기,불국사,석굴암
토함산 서남쪽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에 의하면 751년(경덕왕10년)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 창건했다고 한다. 어릴 적 기억이라 내 기억에서는 서울 근교에서도 볼 수 있는 그저 평범한 큰 절이라 생각했었고, 석굴암은 어릴 적에 가보진 않았지만 평범한 돌로 만든 불상이라 생각했었다. 국보 제 23호인 석조물로 대웅전으로 향하는 자하문과 연결된 다리인데 다리 아래의 속세와 다리위의 부처세계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청운교는 푸른 청년의 모습으로, 백운교는 흰머리 노인의 모습으로 인생을 상징한다.순서
불국사와 석굴암은 학창시절 수학여행 코스로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나의 무지를 깨워 준 것은 2002년 2월에 우연히 시청하게 된 KBShistory(역사) 스페셜 “석굴암원형을 밝혀라”이었다. 그래서 언젠가는 다시 가서 우리나라의 대표 문화재들을 다시 보겠노라고 다짐했고, 이번에 겨우 여유가 되어 탐방하게 되었다. 하지만 서울에 사는 여건 때문에 그동안 학교에서는 가까운 文化(문화)유적지를 택했고, 불국사를 방문한 것은 오직 초등학교 시절 가족들과 함께 갔던 적 밖에 없었다.
불국사에 입장하니 자하문으로 올라가는 청운·백운교가 보인다. 어릴 적 기억이라 내 기억에서는 서울 근교에서도 볼 수 있는 그저 평범한 큰 절이라 생각했었고, 석굴암은 어릴 적에 가보진 않았지만 평범한 돌로 만든 불상이라 생각했었다.
불국사와 석굴암 탐방기
설명
불국사와 석굴암은 학창시절 수학여행 코스로 많이 알려져 있다. 신라시대의 다리로는 유일하게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어 매우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백운교 다리아래 작은 통로가 있고, 그 양쪽에 길게 옆으로 뻗은 청운교와 제작수법이 비슷한 얇고 넓은 덮개돌이 있다 그리고 청운교의 아래 부분은 무지개 모습의 반원아치 모양을 한 홍예문으로 장식되어 있다 계단을 다리 형식으로 만든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오르는 경사면을 45°각도로 구성하여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만들었으며 다듬은 수법도 정교하다. 이 계단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래에 있는 것은 청운교로 길이 6.3m에 17계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 있는 것은 백운교로 길이 5.4m에 16계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33계단으로 되어있는데, 33이라는 숫자는 불교에서 아직 부처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 서른세 가지의 단계를 말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보통은 한 마당의 쌍탑은 같은 모양으로 조성한다. 안으로 들어가면 석가탑과 다보탑이 자리 잡고 있으며 더 안으로 들어가니 금당인 대웅전이 보였다. 지금의 모습은 1873년 복원하였으며 다보탑, 석가탑, 청운교, 백운교, 연화교, 칠보교 등 경내의 조형물 하나 하나가 신라 불교 미술의 뛰어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으며 법당과 탑이 서있는 기단 위의 가람 자체가 불국을 상징하고 있다 불국사 경내는 2009년 12월 21일에 사적 제502호로 지정되었으며 1995년 세계문화유산목록(유네스코)에 등록되었다. 당시의 program은 석굴암의 신비와 과학성을 방영한 것이었는데 그 내용이 나에게는 큰 충격이었고 아무것도 모른 채 구경 만 했던 것에 부끄러움을 느꼈다.